본문 바로가기

재테크

뉴스 기사는 주식 상승에 어떤 영향을 줄까?

 

 

 

뉴스 기사 제목만 보고 주식을 사고팔던 때가 있었다.

 

과거의 나였다면, 

[12만 전자 갑니다] 이 제목만 보고 속이 쓰리고 아팠을 것이다.

그리고, 급하게 매수하려고 했을 것이다.

나는 삼성전자를 다 정리했기 때문이다. 

 

“12만 전자 갑니다” 전망까지… 삼성전자 주가 상승세-국민일보 (kmib.co.kr)

 

“12만 전자 갑니다” 전망까지… 삼성전자 주가 상승세

삼성전자가 2거래일 연속 장중 신고가를 갈아 치우며 ‘9만 전자’를 넘보고 있다. 시장 예상치를 웃도는 실적이 확인된 이후 외국인 투자자들이 집중적으로 삼

www.kmib.co.kr

 

 

 

 

 

하지만, 지금의 나는 우선 지켜본다. 

쭈욱 상승할수도 있겠지만, 기회는 늘 찾아오기 마련. 

기회를 찾지 못한다면 다른 종목이 있겠지 하고 그냥 넘겨버린다.  

 

 

자, 그럼 12만 전자가 될 삼성전자, 오늘 큰 변화가 있었을까? 

 

어제의 기사 제목대로라면, 오늘 9만을 당장에라도 뚫어서 한다.

아직, 그런 일은 벌어지지 않았다. 

 

 


 

 

어제의 또 다른 기사를 하나 볼까?

 

 

 

LG에너지솔루션, 2분기 영업익 1953억 원… 전년比 57.6%↓ - 조선비즈 (chosun.com)

 

LG에너지솔루션, 2분기 영업익 1953억원… 전년比 57.6%↓

LG에너지솔루션, 2분기 영업익 1953억원 전년比 57.6%↓ IRA 세액공제 제외시 영업손실 2525억원

biz.chosun.com

 

 

 

살벌한 이야기, 이 기사 쏟아지고 주가는 어떻게 되었을까?

 

 

 

이미 내려올 대로 내려온 상태라 더 내려갈 곳도 없지만,

기사 제목의 방향성과는 달리 조금씩 위로 올라가는 중이다. 

과거엔, 저런 기사가 나오면 급하게 주식을 팔았다. 

내일 반토막이 날 것 같아서... 조급하게 팔아버렸다.  

 


 

다른 이야기지만, 과거 방송국에 일할 때가 생각난다. 

우리는 이미 한 달 전에 진행자가 결정됐고, 프로그램의 방향성이 정해진 상황이었다. 

제작발표회 전까지 비밀로 하기로 했는데,

어디서 정보가 새어나갔는지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가 속보 기사로 쏟아지기 시작했다.

우리가 막 정한 걸 자신들이 급하게 알아낸 것처럼. 

 

기사 내용의 정확도는 고작 20% 정도였는데, 

모든 매체에서 복붙 하듯 실어 나르기 시작했다. 

어찌 됐든 제작발표회 때 서프라이즈로 짠하고 싶었던 상황에 

김이 새긴 했지만 뭐~ 80%는 여전히 베일에 가려졌으니 

속으로 웃기만 했다. 

 

어떻게 저렇게 어디서 대충 들은 이야기를 사실인 마냥 기사로 내보내고 

또, 모든 매체가 따라서 쓸까? 놀랍기도 했다. 

 

주식 관련 기사를 보면서 그때를 떠올린다. 

 

20% 만 흔들리자. 

100% 다 흔들리지는 말자고.